KOREA HALAL
할랄인증
할랄인증절차
한국할랄인증원에서 할랄인증 취득 시 해외에서 인증 시보다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습니다.

한국할랄인증원의 신속하고 정확한 인증과 지원으로 블루오션 무슬림시장을 선점할 수 있습니다.
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할랄인증
대기업들의 꾸준한 할랄진출에 있어 할랄진출의 대해 준비를 하는 식품, 호텔, 화장품, 제약 등의 업체등은 할랄인증이 수출을 위한 마크라고 생각하지만 할랄이란 무슬림 인구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뜻하기에 인증마크를 받는 것은 필수다. 2020년에는 더 성장할 것으로 판단되는 할랄시장의 대해 화장품, 인테리어자재, 호텔, 의류, 식품, 의약품, 공산품 등의 시장은 더욱 더 커질 것이며 이에 따른 준비는 미리 해 두어야 한다.
할랄 인증 프로세스 (Halal Certification Process Flow Chart)


할랄인증시 필요한 기본 준비서류
01 |
할랄인증신청서 |
02 |
사업자등록증 |
03 |
공장등록증 |
04 |
생산허가증 또는 영업허가서(영업신고증) |
05 |
품목제조보고서 |
06 |
제품 제조공정도 |
07 |
시험성적서 |
08 |
샘플(생산되는 최소단위 - 분석과 보관에 필요한 양) |
09 |
원재료 표기(실제 사용하는 원료 모두 누락없이 표기) |
10 |
납품회사 원료의 제조공정도 및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확인서 |
11 |
주정을 제조 공정에 사용한 경우(0.5%이내) - 원료 생산품의 잔류 에탄올 분석 확인서 |
12 |
제조 공정중 효소를 사용한 경우 - 사용된 효소의 유래를 알 수 있는 서류, 효소의 배양액에 대한 원료 리스트, 각 원료의 제조공정도 및 군주 기탁서 |
13 |
HACCP, CMP, GHP, ISO 또는 기타 인증서가 있는 경우 인증서 사본 |
14 |
수입원료(수입신고필증), 국산농축산물(원산지 확인 증명서), 수입 할랄 원료(외국 공인된 할랄 인증기관의 할랄 인증서) |
15 |
할랄실무자 교육 수료증 |
그 외 필요에 따라 요구하는 서류
- 유전자 분석 시험성적서 Non-GMO 확인서, 잔류농약 또는 화학물 시험성적서, 중금속 시험성적서 등
할랄인증시 참고 및 주의사항
01 |
할랄인증서의 유효기간은 인증서 발금 후 1년 동안이며 1년단위로 갱신됩니다. |
02 |
할랄 인증 후 6개월 후 중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할랄 생산관리가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될 경우 할랄 인증이 취소됩니다. |
03 |
한국할랄 인증원에서 실시하는 할랄 세미나 등에 참석하여 교육을 받으면 중간 모니터링으로 대체 가능합니다. |
04 |
이슬람 법에 의해 도살되지 않은 육류 및 할랄이 아닌 원료 사용 시 할랄 인증 불가합니다. |
05 |
원료 입고부터 공장내 생산라인(제조,저장,운송)은 할랄 전용이어야 하며 다른 생산라인과 교차오염의 가능성이 없어야 합니다. |
06 |
식용 기름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식물성 기름과 이슬람법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기름만 인정됩니다. |
07 |
제출한 서류에 대한 변동사항 발생 시 즉시 통보하여야 하며 할랄 식품 생산에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될 경우 할랄 인증이 취소 될 수 있습니다. |
08 |
할랄 인증서 발급시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확인서와 검증 받은 분석기관의 데이터 요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 |
09 |
원료 공급자에게서 공급 받는 원료 또한 모두 할랄 제품이거나 이에 준하는 제품이어야 합니다. |
10 |
할랄 인증 후 사실과 다른 것이 확인 될 경우 그 즉시 취소 될 수 있습니다. |
할랄인증시 평가항목
구분 |
평가항목 |
|
---|---|---|
원료입고 |
검사 |
- 원료 일치 여부 확인 |
보관 / 이송 |
시설 |
- 비 할랄 원료와 구분 보관 |
도구 |
- 이동수단 구분 |
|
보관 / 이송 |
계량 |
- 전용 계량도구 사용 |
변형 |
- 제조 과정 중 변화(당에서 - 알코올로 - 초산으로) |
|
설비 |
- 하람 사용 공정과 생산 라인 공유 불가 |
|
보관/출하 |
표시 |
- 식별표시 부착(완제품) |
환경 |
작업자 |
- 개인위생 상태 점검 |
교차 |
- 비 할랄 물질의 혼입(작업자, 설비, 도구) |
|
시설 |
- 구내식당 식단관리 |
|
환경 |
- 오염시설 위치 금지 |
인증심사 사진















